-
LEATT의 올마용 가벼운 상체보호대 ROOST TEE자전거, Bicycle, Fahrrad 2014. 3. 30. 23:56
LEATT에서 새로 나온 올마용 상체 보호대, Roost Tee.
작년 초에 Leatt의 3DF Body Protector 상체 보호대를 사서 다운힐과 올마 라이딩에 모두 사용해왔다. 올마라이딩을 할 때에는 가슴과 척추의 패드를 빼서 사용했다. 그런데, 가슴 패드와 척추 패드를 뺐다 꼈다 하는 것이 좀 조심스럽게 잘 해야 한다. 금요일에 늦게 퇴근하여 다음날 새벽같이 다운힐 셔틀 라이딩을 해야 할 때 가슴 패드와 척추 패드를 껴 놓으려고 하면, 행동이 느린 나로써는 성가신 일이었다. 3DF 상체보호대의 왼쪽 팔뚝 부분이 찢어지기도 했으니 하나 더 사서 하나는 다운힐용으로, 다른 하나는 올마라이딩 용으로 사용할까 하는 생각을 하기도 했다.
그런 와중에 LEATT 수입사인 지에스아웃도어에 가벼운 올마용 상체보호대가 막 수입되었다는 얘기를 듣고 바로 구매하였다.
박스가 마치 피자 박스 같다 Roost Tee는 가볍다. 275g 이다. LEATT의 3DF 팔꿈치 보호대를 반드시 할 것이므로 이것까지 무게를 합치면 609g. 3DF Body Protector에서 가슴/척추 패드를 뺐을 때가 684g 이므로 Roost Tee가 약간 더 가볍다.
다소 얇은 보호대가 가슴, 어깨, 팔뚝에 있다. 몸에 열과 땀이 많은 분이라면, 보호대가 얇아서 저 정도 보호할 바에는 안 입는 것이 낫겠다고 생각할 수도 있을 것 같다. 뭐 이거야 개인 취향이니. 나는 워낙 잘 넘어지고 겁이 많아서 조금이라도 보호할 수 있는 것이 있으면 더위쯤은 잘 참을 수 있다 ^^
어깨 부분의 보호대는 어깨의 위와 앞을 감싸준다. 어깨의 뒷쪽까지는 감싸지 않는다. 3DF 상체보호대는 어깨 부분을 더 많이 감싸고 두터운 반면, Roost Tee는 그렇지 않은데, 올마 라이딩할 때 배낭을 항상 매기 때문에 확율적으로 어깨 뒤보다는 앞/옆이 더 중요하다고 판단한 것 아닐까 싶다. 등은 다른 곳보다 더 시원한 재질로 되어 있다.
Roost Tee의 보호패드는 무늬가 있다. 3DF 상체 보호대에서 각 보호 패드는 해당 부위 전체를 덮는 스타일이다. Roost Tee는 보호할 부위 전체를 덮지 않고, 기하학적인 무늬로 만들어서 활동성이 좋고, 무게도 줄이고, 통기성도 더 좋게 한 것 같다. 보호대 부분을 구기면 구겨진다.
겨드랑이 부분은 더 공기가 잘 통하는 재질로 되어 있다. 키 167인 내가 입었을 때 길이가 재법 길게 내려온다.
모든 봉제선이 바깥으로 나와 있어서 살에 닿는 느낌이 역시 좋다. 타이트하게 상체에 붙기 때문에 땀배출이 좋을 것 같고, 트로이리 반팔 티를 입으면 Roost Tee가 거의 보이지 않고 티도 나지 않는 것 같다. 다만 땀난 상태에서 벗을 때에는 주의해야 한다. 3DF 상체보호대도 마찬가지지만, 땀이 난 상태에서는 Roost Tee가 몸에 탈싹 붙어서 잘 미끄러지지 않는데, 벗을 때 세게 당기면 옷이 튿어질 수 있다. 통기성이 좋게 하기 위하여 탄력성이 있는 재질이기는 해도 조심해야 한다. 땀난 상태에서는 인내심을 갖고 조심스럽게 벗어야 한다.
3DF 상체보호대나 여타 상체 보호대와 비교하면 Roost Tee가 보호는 덜 된다. 그러나, 업힐도 하고, 도로 라이딩도 하면서 다운힐 하는 곳에 가서 신나게 타고 다시 길게 도로 라이딩하여 집에 오는 경우에는 전문 다운힐 라이딩에 적합한 3DF 상체보호대를 착용하기에는 덥기도 하고 좀 무겁게 느껴진다. Roost Tee를 입었을 경우, 도로 라이딩을 하는 동안은 팔꿈치 보호대를 배낭에 넣어두었다가, 산에 올라가서 긴 다운힐 구간에서 속도를 내려고 할 때에는 다시 팔꿈치 보호대를 착용하면 된다. (3DF 상체보호대는 팔꿈치 보호대를 쉽게 뺐다 꼈다 할 수 없다) 두껍고 질긴 재질의 옷만 입어도 넘어졌을 때 보호가 되므로, Roost Tee는 올마 라이딩에 적절한 절충선이다.
오늘 Roost Tee를 입고 분당에서 EXO 코스까지 타고 가고, EXO 코스 입구에서 팔꿈치 보호대와 정강이 보호대를 착용한 후 신나게 내리막질 했다. 이제 3DF 상체 보호대는 불당리, 우면산, 고창 같은 다운힐 셔틀 라이딩할 때에만 입어야겠다.
2014.8.16
기온이 30도를 넘고 해가 쨍쨍 비추는 날씨에는 루스트티를 입었을 때 확실히 많이 더 덥게 느껴집니다. 특히 가슴으로 오는 바람을 막기 때문에 덥게 느껴지네요.
'자전거, Bicycle, Fahrrad' 카테고리의 다른 글
Intense Carbine을 1x10 으로 바꾸기 (Atom Racing 30T 체인링) (0) 2014.04.07 Intense Carbine에 구리스 주입하기 (0) 2014.04.06 MTB 서스펜션에서 Preload란 무엇인가? (0) 2014.03.23 Manon Carpenter의 턴하는 자세 (0) 2013.12.08 Yeti 303RDH의 리어샥 스프링을 300에서 250방으로 교환한 효과 (0) 2013.11.02